l u n a m o t h  4 t h   |  COVER  |  TAG CLOUD  |  GUEST  |  RSS 


| Q. 스크랩 어떻게 하고 계신가요?  [소프트웨어 리뷰]

웹서핑을 하다 보면 자연스레 스크랩의 문제에 직면하게 됩니다. 여러 가지 방안이 있겠지요. 용도나 방식에 따라 자체적으로 웹서버에 올려 관리하거나 PC 클라이언트 등으로 세분화해 볼 수 있겠고요. 요즘은 링크 블로그나 위키 방식을 많이들 쓰시는 것 같더군요. 웹 기반의 시스템이 직접적인 연계의 편의성에서 많은 이점이 있겠지만 클라이언트를 이용한 메모와 스크랩도 병행을 하게 되더군요. 그래서 예전부터 개인정보관리 범주에서 문서관리라는 하위범주에 포함되는 프로그램들을 관심을 갖고 찾아보게 됐습니다. 트리구조로 섹션화가 가능한 문서관리 프로그램들이 많이 눈에 띄더군요. 처음에는 GoldenSection Notes를 써보기도 했는데. 전체 문서 검색이 되지 않아서 (지금은 지원한다는군요.) Maple로 넘어와서 현재까지 사용중입니다. 그다지 부연설명이 필요 없을 듯한 "트리구조 문서관리 프로그램" 입니다. 각종 txt, html, doc 파일 불러오기도 지원하고요. jwBrowser의 장길석님이 만드신 jwFreeNote도 생각이 나는군요. 하여튼 제 개인적으로는 Palm Desktop 과 Maple 체제로 온오프라인 연계 정보관리를 해보고 있는 중입니다. 위키라도 만들어 제대로 관리하면 완벽할 텐데 말이죠. 아직은 orz. 그나저나 스크랩 어떻게 하고 계신가요?

cf. FileFlash C:Utilities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2004/11/28 21:07 2004/11/28 21:07



Posted by lunamoth on 2004/11/28 21:07
(8) comments


    스크랩 어떻게 하고 계신가요? x
    【 Tracked from Yuricube's Blog at 2004/11/29 13:20 】
    저 또한 스크랩하는 방법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고 그것을 위해 많은 시간과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 맘에드는... 취향에 맞는 프로그램을 찾기란 정말 쉽지 않은데다, 비용또한 만만치 않기 때문입니다. 국산의 블루노트(테스트만...)뿐 아니..


    제경우에는 Wiki를 사용했었는데요.
    그래도 귀찮더군요. 가장 큰 문제는 첨부 파일의 검색 문제.. -ㅅ-
    그래서 결국에 전향한게...
    자신한테 이메일 보내기 + 구글 데스크탑 서치
    뭐 이렇습니다만.. 그다지 효율적이어 보이진 않네요.

    졸곰 2004/11/29 10:27 r x
    졸곰님 // 위키는 아무래도 체계적인 관리가 있어야지 무턱대고 하다보면 무용지물로 전락하는 듯 싶습니다. 첨부파일 문제가 있군요... / 이메일 활용이라. 약간은 색다른 방법이군요. 저도 불가피한 경우에 gmail 쪽으로 보낸적이 몇번있긴 있었죠. 웹메일 정도를 응용해 보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 구글 데스크탑 서치는 매번 인덱싱을 해줘야 되나요?

    lunamoth 2004/11/29 13:37 r x
    저는 제로보드에 위지웍게시판을 만들고 거기에 카테고리등을 이용하여 세분화하여 자료를 보관한답니다. 대부분 copy & past만 해도 원본 그대로 저장이 되죠.. 이 방법은 원본사이트의 이미지나 파일이 지워지면 text외 다른 내용을 구분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정확힌 페이지가 보관되어야한다면.. pdf로 변환해서 보관한답니다. 요즘 이런 툴이 많죠. primoPDF같은.. 무료자료실에도 올려둔바있는데요.. 해당 페이지에서 pdf가상프린터로 출력하면 pdf가 생성되는 방식의....

    우키 2004/12/06 10:47 r x
    우키님 // 예 저도 한동안 게시판을 이용했습니다. 이지보드를 활용해서. 게시물이 900개 정도 되는군요. 검색이나 섹션구분등이 아무래도 위키류에는 못미치겠지요. 그래서 차후에 한번 설치해보려고 생각중입니다. 라고 말하지만... 언제가 될지...;; 블로그를 설치한 이후로 게시판에 스크랩하는 것도 줄어든것 같고요. / C&P는 웹형식과 클라이언트형식을 내용에 따라 구분해서 써보는 것이 좋을 듯 싶네요. / 이미지 파일을 함께 저장해야 된다면 익스에서 mht 형식으로 저장하는것도 괜찮겠네요. 아니면 캡쳐프로그램에서의 스크롤 캡쳐(이건 C&P문제가 있으니 별로지만.) PDF 방식이라. 좀 많은 문서라면 그런 식이 낫겠네요... :)

    lunamoth 2004/12/06 22:25 r x
    아 저도 비슷한 고민을 했었는데요. maple 2.5버전(하위버전을 쓰는이유는 html export시 한글이 안깨져서요) 쓰다가 웹을 바로 c&p하는건 goldensection notes(winorganizer) 가 되더군요 근데 이건 html전체 export가 안되요. maple 로 평소에 쓰다가 전체 html로 export해서 웹에 올리는것도 했는데 바로 반영할수없고 찾기가 힘들다는 단점이 있네요.

    피카푸 2005/12/14 14:46 r x
      예 그렇군요. 요즘은 위키에 스크랩을 하고 있습니다. 링크 같은 경우에 브라우저에서 바로 접근할 수 있어 편하더군요. del.icio.us 도 따로 링크만 관리하기에는 좋을것 같고요.

               lunamoth 2005/12/14 14:50 x
    참 pda랑 연동성도 보면 maple은 ppc용 프로그램도 있네요. 2.5버전에서 courier new 폰트쓰면 한글안깨지고 볼수 있더군요. ^^; 그러고 보니 1년만의 댓글이군요. 좋은솔루션있으시면 소개부탁드립니다.

    피카푸 2005/12/14 14:49 r x

               lunamoth 2005/12/14 14:52 x
      COMMENT
        



lunamoth
Textcube

Profile
Contact



Suede
brett anderson

lunamoth on Twitter
Miranda NG

Follow @lunamoth
http://feeds.feedburner.com/Lunamoth
follow us in fee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