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정 Friendship
(명) 좋은 날씨에는 두 사람을 실을 수 있지만, 사나운 날씨에는 한 사람만 탈 수 있는 배.
뭔가 묘한 기시감에 사로잡혀 이리저리 찾아보니 생각났던 문장은 다름아닌 고우영 화백의 십팔사략 중 한 컷이었다. 오월동주(吳越同舟), 와신상담(臥薪嘗膽) 얘기. 월왕구천(越王句踐)의 재상 범려(范蠡), 20여년 만난을 무릅쓰고 오왕부차(吳王夫差)의 자멸을 이끌고 패자에 오르게 하나... "어느 날이던가? 비가 조금 내리고 있었는데, 범려는 자취를 감추고 만다." 그리고...
"고생을 같이 나누던 사이는 호강을 나누지 못하느니……."
(可與共患難, 不可與共樂)
사기(史記) 월왕구천세가(越王句踐世家)의 원문은 다음과 같았다.
范蠡遂去, 自斉遺大夫種書曰:「蜚鳥尽, 良弓蔵;狡兔死, 走狗烹. 越王為人長頚鳥喙, 可與共患難, 不可與共樂. 子何不去?」種見書, 称病不朝. 人或讒種且作亂, 越王乃賜種剣曰:「子教寡人伐呉七術, 寡人用其三而敗呉, 其四在子, 子為我従先王試之.」種遂自殺.
원문해석 : "범려는 대부 문종에게 편지를 보내 「나는 새가 없어지면 활을 없애고 토끼가 죽으면 사냥개가 삶겨진다고 합니다. 구천은 목이 길고 입술이 검어 이런사람은 고생을 같이 할 수 았으나 기쁨은 함께 나눌 수 없는 인물입니다. 대부께서는 왜 물러나지 않습니까?」 문종이 듣지 않고 머뭇거리는 사이 구천은 문종에게 칼을 내려 자살하도록 명했다." 한신(韓信)의 토사구팽(兎死狗烹)의 원조?인 셈이다.
각설하고 요는 저 대구가 눈에 밟혀 어지러운 한문 찾아가며 이리저리 발품을 팔다 어느샌가 나도 누군가처럼 春秋戰國時代 에 빠져들었다는 결론이다. 동주 열국지는 몰라도 오월춘추는 찾아 봐야겠다. 日暮途遠 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