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 u n a m o t h  4 t h   |  COVER  |  TAG CLOUD  |  GUEST  |  RSS 


| 시나브로 웹 캐시  [블로그 이야기]

웹서핑을 하다보면 시나브로 "웹 캐시" 에 자신이 기록이 남겨진 경우를 발견하게 됩니다. 최근 들어서는 RSS 피드를 통해서 이런 일이 더 많아지게 되었죠. 올해 초에 논쟁의 대상이 되었던 다음 RSS넷의 경우도 그렇거니와 생각나는대로 나열해본다면. 국외 웹기반 RSS 리더인 Bloglines(e.g.) 와 Rojo 에서도 물론이고 국내 RSS 리더 프로그램인 Xpyder연모 사용자들의 피드를 통해, 웹사이트에 저장되는 캐시도 포함될 것입니다. (cf. 한국 RSS 리더 시장 분석)

Xpyder 의 경우를 살펴볼까요? 다운로드 받아 설치단계에서 접하게 되는 라이센스 계약을 보면 "2.4 Xpyder 소프트웨어을 이용한 정보는 웹에서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를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란 조항이 보이는 군요. 연모쪽은 재밌군요. 일체의 언급없이 바로 설치파일 실행시 속전속결로 설치를 완료해버렸습니다. 연모 라이센스라는 부분이 있었군요! 주목해야될 부분은 두번째 항목입니다. "2. 귀사에서 제공하는 RSS문서를 RSS리더 연모로 사용하는 것에 대하여 주)네오워크는 최대한 협조로 귀사를 도울것입니다." 레토릭의 클리셰. 확실한 문제는 "귀사"의 의지가 개입할 여지가 없다는 것이겠죠.

허나 이글루스의 경우 "비밀글"이 수집된다는 문제는 검토해볼만 합니다. 어디까지나 생성된 RSS 피드를 토대로 수집하며, 웹에 저장을 하는것에 불과할테니 말이죠. 이점에 대해서는 밀피유님의 "다음 RSS넷이 비밀글을 읽어온다는 이야기." 란 글을 다시 살펴볼 필요가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여튼 저러한 저간의 눈가림에도 불구하고 "공개라는 숙명과 맞닿아" 있음은 부정할 수 없을것 같습니다. "RSS를 자신의 홈페이지에 붙여놨다는 것은, 누구에게든 RSS를 이용해서 자신의 컨텐츠를 제공하겠다는 의지의 표시입니다." eouia님의 글이 위안이 되려나요? 이에 앞서 "소수자의 권익" 또한 생각해 볼 문제입니다.
2005/08/20 14:36 2005/08/20 14:36



Posted by lunamoth on 2005/08/20 14:36
(12) comments



    예기치 못한 불상사(?)로 블로그 주소를 바꾸게된 저로서는 예전 블로그 주소가 떠돌고 있는걸 보면 참 만감이 교차하곤 하죠;;

    올빼미 2005/08/20 16:50 r x
      연모, 검색해보니 꽤 오래전 글도 저장되어 있더군요. 또 재밌는게 있더라고요. "이 글을 본 방문자" 란 개념 말이죠. 프로그램 상으로는 무겁기만 할 뿐입니다만 이쪽 쓰는 분들도 은근히 많은것 같습니다. / http://mogibul.egloos.com/1426531

               lunamoth 2005/08/20 16:57 x
    개념없는 업체죠.
    차라리 지금껏 욕했던 다음이 낫죠,정말......
    웹에 올라와있는거면 훔쳐도 된다는건지;
    개개인이면 모를까.....회사차원에서 훔쳐가는거면서 그러는거니 참 어이없습니다.

    烏有 2005/08/20 17:25 r x
      "프로그램의 사용자의 RSS 피드 유출" 이란 부분이, Xpyder 의 경우에는 프로그램 설치시 라이센스 부분에 숨겨두긴 했습니다만 연모 같은 경우는 일절 그런 언급없이 넘어 가더라고요. 물론 홈페이지에는 언급이 있습니다만. 찾아봐야 아는것이고요.

      일전에 꽤나 칭얼거렸던? 컴내꺼 ActiveX 생각도 묘하게 오버랩되고 말이죠... _no.

               lunamoth 2005/08/20 17:33 x
    개개인이 블로그에 링크된 RSS 주소를 통해서 정당하게 포스트를 수집하는 것은 상관없지만, 이 RSS 주소를 통해 수집된 포스트를 제 3자에게 보여주고 이것으로 수익을 창출한다는 것은 문제가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정보공유를 목적으로 RSS를 제공했든 어쨋든, 글에 대한 저작권과 배포권 등은 글쓴이에게 있을텐데요, 그것을 자신의 서버에 저장하고 가공해서 보여줄 권리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여튼..
    컴지꺼에 이어서 웹도 지꺼라고 우겨대는 건지 참..

    syuae 2005/08/20 20:40 r x
      공개의 범위와 개작, 변형의 허용과 사용권한의 문제가 웹기반 RSS 리더에 걸리는 문제가 아닐까 싶습니다. 말씀하셨다시피 "비영리" 목적의 라이센스를 적용하는 블로그인 경우에 이와 배치되는 행태가 나타날 수 있다는 점도 그렇고요.

      더군다나 문제는 저런 일련의 저장과정이 프로그램 사용자들에게 직접적인 언급없이 행해지고 있다는 측면이 될것 같습니다.

               lunamoth 2005/08/20 20:51 x
    안녕하세요. 트레뷁 보고 옵니다.
    예상했던 것보다 더 짜증나는 문제가 되어가는군요 이거.

    50권 2005/08/20 21:49 r x
      컨텐츠 편입?에 RSS Feed 만큼 유용한건 없을테고요. 각종 포털 등에서도 속속 도입하고 있듯이 말이죠.

      지금 찾아보니 드림위즈 같은 경우는 분명 등록한적이 없을텐데 올라와 있군요... orz

      http://rss.dreamwiz.com/cgi-bin/rss_movie.cgi

               lunamoth 2005/08/20 21:57 x
    이정도까지 가면 단지 불펌 문제로 치부될 것이 아니라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50권 2005/08/20 22:00 r x
      스크랩 쪽보다 광범위 하겠죠. 일대일이 아닌 多대多로 벌어지겠고요. Xpyder 통계를 보면 국내 최대 메타블로그로 보입니다. (그 과정이 어떠했건) RSS 채널 : 168107개 전체 글 : 6802273개 회원 수 : 6120명

               lunamoth 2005/08/20 22:48 x
    다행히도 '빅장구사여부'는 라이센스에 포함되어 있지 않더라고요.

    태우 2005/08/21 00:30 r x
      예 프로그램까지 "근성"의 여파가 미치진 않았더군요;

               lunamoth 2005/08/21 10:15 x
      COMMENT
        



lunamoth
Textcube

Profile
Contact



Suede
brett anderson

lunamoth on Twitter
Miranda NG

Follow @lunamoth
http://feeds.feedburner.com/Lunamoth
follow us in feedly